귀신피지(鬼神避之) 귀신피지(鬼神避之) 귀신 귀 귀신 신 피할 피 갈 지 귀신도 피한다. 즉 무슨 일이든지 과감하게 추진하면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출전] 사기(史記) 이사열전(李斯列傳) ☆ ★ ☆ 중국의 진시황(秦始皇)은 맏아들인 부소(扶蘇)가 제위(帝位)를 잇도록 유서를 써서 밀봉한 채 죽기 .. 고사성어 2018.08.26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어질 인 옳을 의 예도 예 슬기 지 믿을 신 유교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도리로, 어질고 의로우며 예의를 지키고 지혜로우며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 오상(五常)이라고도 한다. [출전] 맹자(孟子) 공손추 상편(公孫丑上篇) ☆ ★ ☆ 공자(孔子)는 인을 중시했고, 맹자.. 고사성어 2018.08.26
금의야행錦衣夜行 금의야행(錦衣夜行) 비단 금 옷 의 밤 야 다닐 행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 즉 아무 보람 없는 행동을 말하거나 무언가 자랑삼아 하지만 생색이 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서(漢書) 항적전(項籍傳) ☆ ★ ☆ 중국의 진(秦)나라 말기 유방(劉邦)과 패권을 놓고 다투던 때이다. .. 고사성어 2018.08.26
선즉제인(先則制人)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선 곧 즉 절제할 제 사람 인 선수를 쳐서 상대를 제압한다. 즉 무슨 일이든 남보다 먼저 하면 유리함을 뜻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 ☆ ★ ☆ 중국 진(秦)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죽고 호해(胡亥)가 2대 황제에 오르던 해의 일이다. 진승(.. 고사성어 2018.08.26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 춘 올 래 아닐 불 닮을 사 봄 춘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는 뜻으로, 시기에 어울릴 만한 상황이 아님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서(漢書), 동방규(東方叫) 소군원(昭君怨) ☆ ★ ☆ 중국 한(漢)나라 원제(元帝)는 화공에게 궁녀들의 초상화를 그려 오도록 했다.. 고사성어 2018.08.26
응시호보(鷹視虎步) 응시호보(鷹視虎步) 매 응 볼 시 범 호 걸음 보 매의 눈과 호랑이의 걸음을 의미하며, 매처럼 날카롭고 호랑이처럼 용맹한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오월춘추(吳越春秋) 합려내전(闔閭內傳) ☆ ★ ☆ 중국 춘추시대 오(吳)나라의 대부(大夫) 오자서(伍子胥)는 초(楚)나라 사람으로, 아.. 고사성어 2018.08.26
임사이구(臨事而懼) 임사이구(臨事而懼) 임할 임 일 사 말이을 이 두려워할 구 일을 앞두고는 두려운 마음이 있어야 한다. 즉 무슨 일이든지 가볍게 보지 말고 신중하게 지혜를 모아 추진해서 반드시 성공해야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 ☆ ★ ☆ 어느 날 공자가 제자 안회(顔回).. 고사성어 2018.08.26
호연지기(浩然之氣) 호연지기(浩然之氣) 넓을 호 그럴 연 갈 지 기운 기 사람의 마음에 차 있는 넓고 크며 올바른 기운으로 어떤 일에도 굴하지 않고 맞설 수 있는 당당한 기상을 비유하는 말이다. 호연은 넓고 큰 모양을 뜻한다. [출전] 맹자(孟子) 공손추 상편(公孫丑上篇) ☆ ★ ☆ 어느 날 제자 공손추(公孫.. 고사성어 2018.08.26
궁만즉절弓(滿則折) 궁만즉절(弓滿則折) 활 궁 찰 만 곧 즉 꺽을 절 활을 너무 당기면 부러진다. [출전] 전가보(傳家寶) ☆ ★ ☆ 전가보(傳家寶)라는 책에 이런 말이 있다. 話不可說盡, 事不可做盡, 莫撦滿篷風, 常留轉身地, 弓太滿則折, 月太滿則虧. 화불가설진, 사불가주진, 막차만봉풍, 상류전신지, 궁태만즉.. 고사성어 2018.08.26
염화시중(拈華示衆) 염화시중(拈華示衆) 잡을 염 빛날 화 보일 시 무리 중 사람들에게 꽃을 들어 보인다는 뜻이지만,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이심전심으로 상대방에게 마음을 전달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 ☆ ★ ☆ 어느 날 석가모니가 영산회상(靈山會.. 고사성어 201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