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태아(倒持泰阿) 도지태아(倒持泰阿) 넘어질 도 가질 지 클 태 언덕 아 명검인 태아*를 거꾸로 잡고 손잡이를 다른 사람이 쥐게 한다. 즉 남에게 권한을 넘겨주고 자기는 도리어 피해를 입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서(漢書) 매복전(梅福傳)** ☆ ★ ☆ 중국의 한(漢)나라 때 성제(成帝)가 정사를 맡.. 고사성어 2018.08.26
마부작침(磨斧作針) 마부작침(磨斧作針) 갈 마 도끼 부 지을 작 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즉 어려운 일이라도 인내하며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방여승람(方與勝覽)* ☆ ★ ☆ 중국 당(唐)나라 때 이백(李白)**은 10살 때 벌써 시와 글씨에 매우 뛰어난 재능을 .. 고사성어 2018.08.26
법삼장이(法三章耳) 법삼장이(法三章耳) 법 법 석 삼 글 장 귀 이 단 3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간단한 법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紀) ☆ ★ ☆ 고대 중국의 한(漢)나라 유방(劉邦)은 진(秦)나라에 쳐 들어가 진나라 황제 영자영(嬴子嬰)의 항복을 받은 후 패상(覇上)으로 돌.. 고사성어 2018.08.26
발묘조장(拔苗助長) 발묘조장(拔苗助長) 뽑을 발 모 묘 도울 조 길 장 빨리 자라도록 싹을 위로 잡아 뽑다. 즉 빠른 시일 내에 성과를 내기 위해 서두르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맹자(孟子)* 공손추 상편(公孫丑上篇) ☆ ★ ☆ 맹자(孟子)가 제자 공손추(公孫丑)에게 호연지기에 .. 고사성어 2018.08.26
조삼모사(朝三暮四) 조삼모사(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원래는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 주고 저녁에는 네 개 준다는 뜻인데, 잔꾀로 남을 속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 ☆ ★ ☆ 중국 전국시대 송(宋)나라에 원숭이를 키우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은 원숭.. 고사성어 2018.08.26
심장적구(尋章摘句) 심장적구(尋章摘句) 찾을 심 글 장 딸 적 글귀 구 문장이나 구절 몇 개를 뽑아 쓴다. 즉 공부를 깊게 하지 않고 문장이나 표현을 몇 개 익히고 나서 공부했다고 으스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오서(吳書) 오주전(吳主傳) 손권(孫權) ☆ ★ ☆ 중국 삼국시대, .. 고사성어 2018.08.26
복마전(伏魔殿) 복마전(伏魔殿) 엎드릴 복 마귀 마 전각 전 마귀를 가두어 둔 집이라는 뜻으로 나쁜 일이나 음모가 끊이지 않고 벌어지는 부정부패와 비리의 온상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수호지(水滸誌)* ☆ ★ ☆ 중국 북송(北宋) 인종(仁宗) 때 전염병이 돌자, 황제는 어느 산의 절에 있는 장진인(張眞.. 고사성어 2018.08.26
해현경장(解弦更張) 해현경장(解弦更張) 풀 해 활시위 현 고칠 경 베풀 장 거문고의 낡은 줄을 풀어 다시 맨다. 즉 해이해진 마음을 가다듬거나 사회적·정치적 개혁을 단행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 ☆ ★ ☆ 동중서(董仲舒)*가 중국 한(漢) 무제(武帝)에게 국정에 대해 말한.. 고사성어 2018.08.26
도행역시(倒行逆施) 도행역시(倒行逆施) 넘어질 도 다닐 행 거스를 역 베풀 시 거꾸로 가고 거꾸로 행하다. 즉 순리 또는 상식에 어긋나게 행동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 ☆ ★ ☆ 중국의 춘추시대 초(楚)나라 평왕(平王) 때의 일이다. 태자의 교육을 담당하는 관직.. 고사성어 2018.08.26
파천황(破天荒) 파천황(破天荒) 깨뜨릴 파 하늘 천 거칠 황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 상태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북몽쇄언(北夢瑣言)* 파천황해(破天荒解) ☆ ★ ☆ 과거제도는 중국 수(隋)나라 때 시작되어 청(淸)나라 말기까.. 고사성어 201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