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꼬별곡 똥꼬별곡 I.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로 시작되며 고려시대의 속요로 널리 알려진 청산별곡은 기(1연): 이상향으로 설정된 청산으로의 현실도피, 승(2-4연): 당시의 어려운 속세에 있어서의 삶의.. 어산잡록/잡록(雜錄) 2019.05.29
유연성에 관한 짧은 생각 유연성에 관한 짧은 생각 내가 어렸을 때는 사람들을 누구나 밥을 먹고 사는 줄로만 알았다. 적어도 이리로 유학 가서 중학교 수업시간에 '인간은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는 이야기를 선생님으로부터 듣기까지는. 다른 이들은 그 말이 다른 동물과 차별화되는 것이며 이를테면 자유라든.. 어산잡록/잡록(雜錄) 2019.05.29
R梧下 R梧下 나의 언어와 나의 생활이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경계한다. 그러나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역시 또 다른 매너리즘임을 이내 발견한다. 빠지지 않으려 함의 동기는 탈출의 욕구이다. 금잔디 뿌리만큼이나 뻔뻔하게 뻗어나는 鬪魂의 轉形이다. 무엇인가로부.. 어산잡록/잡록(雜錄) 2019.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