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中庸) 31-33 31.1 唯天下至聖, 爲能聰明睿知, 足以有臨也, 寬裕溫柔, 足以有容也, 發强剛毅, 足以有執也, 齊莊中正, 足以有敬也, 文理密察, 足以有別也. 유천하지성, 위능총명예지, 족이유림야, 관유온유, 족이유용야, 발강강의, 족이유집야, 제장중정, 족이유경야, 문리밀찰, 족이유별야. 오직 천하의 ..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22
중용(中庸) 27-30 27.1 大哉聖人之道! 대재성인지도! 성인의 도는 위대하다! 27.2 洋洋乎! 發育萬物, 峻極于天. 양양호! 발육만물, 준극우천. 탁 트여 넓고도 넓다! 만물을 내고 기르며, 높고 큼이 하늘에까지 닿았다. 27.3 優優大哉! 禮儀三百, 威儀三千. 우우대재! 예의삼백, 위의삼천. 많고도 많다! 의례가 300 ..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22
중용(中庸) 21-26 21.0 自誠明謂之性, 自明誠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 자성명위지성, 자명성위지교. 성즉명의, 명즉성의. 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이라고 하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성해지는 것을 교라고 한다. 성은 밝음이고, 밝음은 성이다. 22.0 惟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則能盡人之..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22
중용(中庸) 20 20.1 哀公問政. 애공문정. 애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 애공(哀公): 당시 노(魯)나라의 군주이다. 공자가 주유를 마치고 돌아 온 69세 이후의 대화로 추정된다. 20.2 子曰, "文武之政, 布在方策, 其人存則其政擧, 其人亡則其政息." 자왈, "문무지정, 포재방책, 기인존즉기정거, 기인..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21
중용(中庸) 14-19 14.1 君子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 군자소기위이행, 불원호기외. 군자는 그 자신의 처지에 따라서 행할 뿐이요, 그 밖의 것을 바라지 않는다. 14.2 素富貴, 行乎富貴, 素貧賤, 行乎貧賤, 素夷狄, 行乎夷狄, 素患難, 行乎患難, 君子無入而不自得焉. 소부귀, 행호부귀, 소빈천, 행호빈천, 소이적..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20
중용(中庸) 8-13 8.0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 得一善則拳拳服膺, 而弗失之矣." 자왈, "회지위인야, 택호중용, 득일선즉권권복응, 이불실지의." 공자가 말했다. "안회의 사람됨은 중용을 택하여 한 가지 선을 얻으면 받들어 마음 속에 품고 잃지 않았다." * 안회(顔回): 자는 자연(子淵)으로 공자의 제자..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18
중용(中庸) 1-7 1.1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사람이 날 때부터 하늘이 부여한 것을 성이라고 하고, 성에 따라 행하는 것을 도라고 하고, 도를 실천하기 위해 마음을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 1.2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戒愼乎其所..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18
중용은 어떤 책인가? <중용>은 기원전 430 년경에 만들어졌는데, 누가 지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설이 없다. <사기(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의하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62세 때 <중용>을 지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다른 사람이 썼다고도 하고, 자사가 쓴 글을 .. 고전의 향기/중용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