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을 우 공평할 공 옮길 이 뫼 산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 ☆ ★ ☆ 중국 기주(冀州)의 남쪽에 나이 90세가 다 된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 고사성어 2018.08.26
천지신지아지자지(天知神知我知子知) 천지신지아지자지(天知神知我知子知) 하늘 천 알 지 귀신 신 알 지 나 아 알 지 아들 자 알 지 하늘이 알고 신이 알고 내가 알고 당신이 안다. 즉 세상에는 비밀이 없으므로 모든 일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양진전(楊震傳) ☆ ★ ☆ 고대 중국 후한(後漢) 개국.. 고사성어 2018.08.26
공생명(公生明) 공생명(公生明) 공평할 공 날 생 밝을 명 공평한 마음을 가져야 비로소 밝은 지혜가 생긴다. ‘공생명 염생위’(公生明 廉生威)로도 많이 쓴다. [출전] 곽윤례(郭允禮)의 관잠(官箴) ☆ ★ ☆ 중국 명(明)나라의 관리들을 위한 금언집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吏不畏吾嚴而畏吾廉, 民不.. 고사성어 2018.08.26
완물상지(玩物喪志) 완물상지(玩物喪志) 희롱할 완 물건 물 잃을 상 뜻 지 쓸데없는 물건에 정신이 팔려 본래의 의지를 잃게 된다. 사람을 놀리면 덕을 잃고, 물건을 노리개로 삼으면 큰 뜻을 잃는다는 ‘ 완인상덕 완물상지’(玩人喪德 玩物喪志)에서 유래한 말이다. [출전] 서경(書經) 여오편(旅獒篇) ☆ ★ .. 고사성어 2018.08.26
정인매리(鄭人買履) 정인매리(鄭人買履) 정나라 정 사람 인 살 매 신 리 정나라 사람이 신발을 산다는 뜻인데, 비현실적인 원리원칙에만 얽매여 융통성이 없는 우직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비자(韓非子) 외저설(外儲說) 좌상편(左上篇) ☆ ★ ☆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정(鄭)나라의 어떤 사람이 신발을 .. 고사성어 2018.08.26
대복편편(大腹便便) 대복편편(大腹便便) 큰 대 배 복 편할 편 편할 편 배가 나오고 뚱뚱한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변소전(邊韶傳) ☆ ★ ☆ 변소(邊韶)*는 유가의 많은 경전을 공부하였으며, 그 명성을 듣고 각지에서 제자들이 몰려들었다. 그의 교육은 매우 엄격해서 제자들이 잠깐이.. 고사성어 2018.08.26
천려일실(千慮一失) 천려일실(千慮一失) 일천 천 생각할 려 한 일 잃을 실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 있다. 즉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도 많은 생각을 하다보면 하나쯤 실수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회음후열전(准陰侯列傳) ☆ ★ ☆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韓信)이 조(趙)나.. 고사성어 2018.08.26
제궤의혈(堤潰蟻穴) 제궤의혈(堤潰蟻穴) 둑 제 무너질 궤 개미 의 구멍 혈 개미구멍이 제방을 무너뜨린다. 즉 사소한 실수로 큰일을 망쳐버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한비자(韓非子) 유노(喩老) ☆ ★ ☆ 중국 전국시대 위(魏)나라 재상 백규(白圭)는 물 관리에 유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미리 .. 고사성어 2018.08.26
계명구도(鷄鳴狗盜) 계명구도(鷄鳴狗盜)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닭 울음소리나 내고 개처럼 들어가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하찮은 꾀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맹상군열전(孟嘗君列傳) ☆ ★ ☆ 중국 전국시대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맹상군(孟嘗君)을 재상으로 임명했는.. 고사성어 2018.08.26
망양보뢰(亡羊補牢) 망양보뢰(亡羊補牢) 망할 망 양 양 기울 보 우리 뢰 양을 잃고 난 후에 우리를 고친다. 원래는 양을 잃고 나서 우리를 고치더라도 늦지 않다는 긍정적인 의미였지만, 지금은 반대로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이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 고사성어 201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