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傳) 제10장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전(傳) 제10장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 上老老而民興孝, 上長長而民興弟, 上恤孤而民不倍. 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 所惡於上, 毋以使下, 所惡於下, 毋以事上, 所惡於前, 毋以先後, 所惡於後, 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9장 제가치국<齊家治國> 전(傳) 제9장 제가치국<齊家治國> 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故, 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 孝者所以事君也, 弟者所以事長也, 慈者所以使衆也. 소위치국, 필선제가기자, 기가불가교, 이능교인자, 무지. 고, 군자불출가이성교어국, 효자소이사군야, 제자소..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8장 수신제가<脩身齊家> 전(傳) 제8장 수신제가<脩身齊家> 所謂齊其家, 在脩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故, 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此謂身不脩, 不可以齊其家. 소위..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7장 정심수신<正心脩身> 전(傳) 제7장 정심수신<正心脩身> 所謂脩身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此謂脩身在正其心. 소위수신재정기심자, 신유소분치, 즉부득기정, 유소공구, 즉부..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6장 성의<誠意> 전(傳) 제6장 성의<誠意>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惡臭, 如好好色, 此之謂自謙. 故, 君子必愼其獨也. 小人閒居爲不善, 無所不至, 見君子而后, 厭然揜其不善, 而著其善, 人之視己, 如見其肺肝然, 則何益矣. 此謂誠於中, 形於外. 故, 君子必愼其獨也.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5장 격물치지<格物致知> 전(傳) 제5장 격물치지<格物致知> 此謂知之至也. 所謂致知在格物者, 言欲致吾之知, 在卽物而窮其理也. 蓋人心之靈, 莫不有知, 而天下之物, 莫不有理, 惟於理, 有未窮. 故, 其知有不盡也. 是以, 大學始敎, 必使學者, 卽凡天下之物, 莫不因其已知之理而益窮之. 以求至乎其極, 至於用力..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4장 본말<本末> 전(傳) 제4장 <本末> 子曰, "聽訟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無情者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 자왈, "청송오유인야. 필야사무송호." 무정자부득진기사, 대외민지, 차위지본. 공자의 말이다. "일단 송사가 발생하면 처리한느 일이야 나도 남과 그리 다르지 않겠지만, 나는 반드시 ..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3장 지어지선<止於至善> 전(傳) 제3장 지어지선<止於至善>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子曰,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詩云, "穆穆文王, 於緝熙敬止." 爲人君, 止於仁. 爲人臣, 止於敬, 爲人子, 止於孝, 爲人父, 止於慈, 與國人交, 止於信. 詩云, "瞻彼淇澳, 菉竹猗猗, 有..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2장 신민<新民> 전(傳) 제2장 신민<新民> 湯之盤銘曰,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康誥曰, "作新民." 詩曰, "周雖舊邦, 其命維新." 是故君子無所不用其極. 탕지반명왈,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강고왈, "작신민." 시왈, "주수구방, 기명유신." 시고군자무소불용기극. 탕임금이 세수대야에 새긴 글에, "진..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
전(傳) 제1장 명명덕<明明德> 전(傳) 제1장 명명덕<明明德> 康誥曰, "克明德." 太甲曰, "顧諟天之明命." 帝典曰, "克明峻德." 皆自明也. 강고왈, "극명덕." 태갑왈, "고시천지명명." 제전왈, "극명준덕." 개자명야. <서경> 강고 편에, "문왕은 덕을 제대로 밝히셨다."고 하고, 태갑 편에는, "하늘이 내린 이 밝은 명령.. 고전의 향기/대학 2018.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