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계명구도(鷄鳴狗盜)

어산(於山) 2018. 8. 26. 15:28

계명구도(鷄鳴狗盜)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닭 울음소리나 내고 개처럼 들어가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하찮은 꾀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사기(史記) 맹상군열전(孟嘗君列傳)


☆ ★ ☆


중국 전국시대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맹상군(孟嘗君)을 재상으로 임명했는데,

한 신하가 그는 제나라 왕의 종친이므로 진나라보다 제나라를 우선할 것이라는 말을 듣고 하옥시켰다.

맹상군이 소왕의 애첩에게 도움을 청하자,

그녀는 여우 겨드랑이 털로 만든 호백구(狐白裘)를 요구했지만 이미 소왕에게 진상하고 없어 곤란했다.


最下坐有能爲狗盜者, 乃夜爲狗, 以入秦宮臧中, 取所獻狐白裘至, 以獻秦王幸姬.
최하좌유능위구도자, 내야위구, 이입진궁장중, 취소헌호백구지, 이헌진왕행희.


그런데 맹상군의 하급 식객 한 명이 밤에 개처럼 진나라 궁궐 창고에 들어가

소왕에게 진상한 호백구를 훔쳐 다시 애첩에게 전했다.
풀려 난 맹상군은 서둘러 떠나 밤중에 함곡관(函谷關)에 도착했지만,

닭 우는 시간이 되어야 성문이 열리므로 못나가고 기다렸다.


孟嘗君恐追至, 客之居下坐者有能爲鷄鳴, 而鷄齊鳴, 遂發傳出.
맹상군공추지, 객지거하좌자유능위계명, 이계제명, 수발전출.


맹상군이 군사들이 쫓아올까 걱정하고 있는데,

하급 식객 한 명이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자 모든 닭들이 다같이 울어 성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려일실(千慮一失)  (0) 2018.08.26
제궤의혈(堤潰蟻穴)  (0) 2018.08.26
망양보뢰(亡羊補牢)  (0) 2018.08.26
도지태아(倒持泰阿)  (0) 2018.08.26
마부작침(磨斧作針)  (0) 201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