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사충(大姦似忠)
클 대 간음할 간 닮을 사 충성 충
크게 간사하면 흡사 충신과 같이 보인다.
즉 매우 간사한 사람은 아첨하는 방법이 교묘하여 마치 아주 충성스러운 사람처럼 보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송사(宋史) 여회전(呂誨傳)
☆ ★ ☆
서기 979년 중국을 통일한 송(宋)나라는 문치주의를 내세워 교육과 상업이 크게 발전하고 문화가 융성했다.
반면에 군사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5대 황제 영종(英宗)은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도모했지만 즉위 4년만에 죽고 말았다.
그러자 뒤를 이은 신종(神宗)이 왕안석(王安石)을 발탁하여 개혁을 계속했다.
왕안석은 제치삼사조례사(制置三司條例司)를 설치하여 강력한 개혁정책이 포함된 신법(新法)을 공포하게 된다.
기득권 세력이 당연히 강하게 반대했고, 특히 여회(呂誨)는 다음과 같은 상소를 올렸다.
臣聞大奸似忠, 大詐似信. 安石外示朴野, 中藏奸詐, 驕蹇慢上, 陰賊害物.
신문대간사충, 대사사신. 안석외시박야, 중장간사, 교건만상, 음적해물.
신이 듣건대 크게 간사한 사람은 충신으로 보이고, 큰 사기꾼은 믿을 만한 사람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왕안석은 보기에는 순박해도 속마음은 간사하고 매우 교만하여 숨어서 남을 해치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1085년 신종이 죽고 어린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수구파가 득세하고 신법파는 좌천되었다.
그 후 당쟁은 격화되고 국정은 파탄에 이르러 1127년 여진족의 금나라에 멸망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밀복검(口蜜腹劍) (0) | 2018.08.26 |
---|---|
계륵(鷄肋) (0) | 2018.08.26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0) | 2018.08.26 |
오월동주(吳越同舟) (0) | 2018.08.26 |
농단(壟斷) (0) | 2018.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