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양흥탄(望洋興嘆)
바랄 망 큰 바다 양 일 흥 탄식할 탄
바다를 보면서 탄식한다. 즉 다른 사람의 뛰어난 면을 보고 비로소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게 됨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
☆ ★ ☆
중국 황하(黃河)에 하백(河伯)이라는 신이 살았다. 그는 모든 냇물이
황하로 모이니 자기가 으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비가 많이 내려
물이 넘쳐흐르자 그는 강을 따라 동쪽으로 가 마침내 바다에 이르렀는데,
그 끝이 보이지 않자 바다의 신에게 이렇게 말했다.
且夫我嘗聞少仲尼之聞而輕伯夷之義者, 始吾弗信.
今我睹子之難窮也, 吾非至於子之門, 則殆矣, 吾長見笑於大方之家.
차부아상문소중니지문이경백이지의자, 시오불신.
금아도자지난궁야, 오비지어자지문, 즉태의, 오장견소어대방지가.
저는 공자의 학문을 하찮게 생각하고 백이의 의로움을 가볍게 여기는 말을 듣고
처음에는 믿지 않았는데, 이제 당신의 끝이 없음을 보고 나니
제가 여기 오지 않았더라면 두고두고 세상 사람들의
비웃음을 살 뻔했습니다.
하백의 이 말에 바다의 신이 대답했다.
井䵷不可以語於海者, 拘於虛也. 夏蟲不可以語於氷者, 篤於時也. 曲士不可以語於道者, 束於敎也.
今爾出於崖涘, 觀於大海, 乃知爾醜, 爾將可與語大理矣.
정와불가이어어해자, 구어허야. 하충불가이어어빙자, 독어시야. 곡사불가이어어도자, 속어교야.
금이출어애사, 관어대해, 내지이추, 이장가여어대리의.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 바다를 말할 수 없음은 공간의 제약 때문이며,
여름벌레에게 얼음을 말할 수 없음은 시간의 제약 때문이며,
편협한 지식인에게 진정한 도의 세계를 말할 수 없음은 교육의 제약 때문이다.
그런데 그대는 작은 강을 나와 큰 바다를 보고 부족함을 깨달았으니 더불어 큰 이치를 논할 만하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용유상(從容有常) (0) | 2018.08.25 |
---|---|
일궤십기(一饋十起) (0) | 2018.08.25 |
청출어람(靑出於藍) (0) | 2018.08.25 |
두주불사(斗酒不辭) (0) | 2018.08.25 |
점석화금(點石化金) (0) | 2018.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