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향기/중용

중용(中庸) 1-7

어산(於山) 2018. 12. 18. 16:49


1.1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사람이 날 때부터 하늘이 부여한 것을 이라고 하고, 성에 따라 행하는 것을 라고 하고, 도 실천하기 위해 마음을 닦는 것라고 한다.


1.2

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군자계신호기소부도, 공구호기소불문.

도라는 것은 잠시라도 떠날 없는 것이니, 떠날 있다면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아도 경계하고 조심하고 삼가하며, 들리지 않아도 두려워해야 한.


1.3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

막현호은, 막현호미, 군자신기독야.

숨겨진 것보다 잘 드러나는 것이 없고, 미미한 보다 보이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도 삼가해야 한.


1.4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지달도야.

희노애락 아직 나타나 않은 것을 이라고 하, 나타났지만 모두 절도 맞는 것을 라고 한다. 중은 천하의 근본이요, 화는 사람들이 공통으로 따라야 할 도이다.


1.5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치중화, 천지위언, 만물육언.

화를 지극하게 하면 세상이 제자리를 잡고, 만물 자라게 된다.

 

2.1

仲尼曰, "君子中庸, 小人反中庸."

중니왈, "군자중용, 소인반중용."

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중용을 지키지만, 소인은 그와 반대로한다."

* 중니(仲尼): 공자의 자(字)이고 이름은 구(丘)이다. 


2.2

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小人之(反)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

군자지중용야, 군자이시중, 소인지()중용야, 소인이무기탄야.

군자가 중용을 지키는 것은 군자가 때에 알맞게 행하기 때문이고, 소인이 중용과 반대로 행하는 것은 소인으로서 꺼릴 것이 없기 때문이다.


3.0

子曰, "中庸其至矣乎, 民鮮能久矣."

자왈, "중용기지의호, 민선능구의."

공자가 말했. "중용은 참으로 지극한 것으로, 중용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4.1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 知者過之, 愚者不及也. 道之不明也, 我知之矣. 賢者過之, 不肖者不及也."

자왈, "도지불행야, 아지지의. 지자과지, 우자불급야. 도지불명야, 아지지의. 현자과지, 불초자불급야."

공자가 말했다. "도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는데, 내가 그 이유를 알겠다. 지혜롭다는 사람은 너무 지나치고, 어리석은 사람은 행동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지켜야 할 도가 분명하지 않은데, 내가 그 이유를 알겠다. 어질다는 사람은 너무 지나치고, 어리석은 사람은 수준에 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4.2

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

인막불음식야, 선능지미야.

사람이라면 누구나 먹고 마시지 않는 이가 없지만 맛을 제대로 아는 이는 드물다.


5.0

子曰, "道其不行矣夫."

자왈, "도기불행의부." 

공자가 말했다. "이와 같이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구나."


6.0

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자왈, "순기대지야여, 순호문이호찰이언, 은오이양선, 집기양단, 용기중어민, 기사이위순호!" 

공자가 말했다. "순임금은 매우 지혜롭다. 그는 묻기를 좋아하고 평상시에 가볍게 하는 말도 주의깊게 들었다. 나쁜것은 가리고 좋은 것은 드러내되, 잡아 중간을 백성들에게 적용했다. 이것이 그가 성군이 된 까닭이다!"

* 순(): 본명은 중화(重華). 고대 중국의 신화시대인 우(虞)나라의 왕으로 요(堯)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으며, 다시 우(禹)에게 물려주었다.


7.0

子曰, "人皆曰予知, 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 而莫之知?也. 人皆曰予知, 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

자왈, "인개왈여지, 구이납저고확함정지중, 이막지지피야. 인개왈여지, 택호중용이불능기월수야."

공자가 말했다. "사람들은 모 자신이 지혜롭다고 말하지만 이나 함정 속으로 몰아넣어도 그것을 피할 모른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지혜롭다고 말하지만 중용을 택하면 한 달도 지키지 못한."



'고전의 향기 >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21-26  (0) 2018.12.22
중용(中庸) 20  (0) 2018.12.21
중용(中庸) 14-19  (0) 2018.12.20
중용(中庸) 8-13  (0) 2018.12.18
중용은 어떤 책인가?  (0)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