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시어외(先始於隗)
먼저 선 비로소 시 어조사 어 높을 외
우선 곽외(郭隗)부터 시작한다.
즉 큰일을 하려면 우선 쉬운 것부터 하거나 말을 꺼낸 사람부터 시작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소왕(昭王)
☆ ★ ☆
중국 전국시대 연(燕)나라 소왕(昭王)이 부국강병에 필요한 지혜로운 신하를 얻기 위해 조언을 구하자
곽외(郭隗)라는 사람이 대답했다.
臣聞古之君人, 有以千金求千里馬者, 三年不能得, 涓人言於君曰, 請求之.
三月得千里馬, 馬已死, 買其首五百金, 反以報君. 君大怒. 涓人曰, 死馬且買之五百金, 況生馬乎?
於是不能期年, 千里之馬至者三. 今王誠欲致士, 先始於隗.
신문고지군인, 유이천금구천리마자, 삼년불능득, 연인언어군왈, 청구지.
삼월득천리마, 마이사, 매기수오백금, 반이보군. 군대로. 연인왈, 사마차매지오백금, 황생마호?
어시불능기년, 천리지마지자삼. 금왕성욕치사, 선시어외.
제가 듣기로 옛날에 어느 왕이 천금을 주고서라도 천리마를 구하고 싶었는 데 3년 동안이나 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하급 관리가 천리마를 구해 오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3개월이 걸려 천리마를 발견했지만 천리마는 이미 죽은 뒤였습니다.
그가 오백 냥을 주고 죽은 말의 대가리를 사와 왕에게 보고하니 왕이 크게 노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죽은 말을 사는데 오백 냥이나 주었으니 하물며 살아 있는 천리마는 어떻겠느냐고 말했습니다.
과연 1년이 지나지 않아 천리마가 세 필이나 모였다고 합니다.
지금 왕께서 진심으로 뛰어난 인재를 원하신다면 우선 저 곽외부터 시작하십시오.
이 말은 들은 소왕이 곽외를 등용하고 그를 위한 궁전을 지어 머물도록 하는 등 극진하게 예우하자
아니나 다를까 천하의 인재들이 모여들었다.
위나라에서는 악의(樂毅)가, 제나라에서는 추연(騶衍)이, 조나라에서는 극신(劇辛) 등이 찾아온 것이다.
28년 뒤, 연나라는 매우 부강한 나라가 되었고 군사들은 싸움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소왕은 악의를 상장군으로 삼고 진(秦), 초(楚) 등과 연합해 제(齊)나라를 공격하여 마침내 원수를 갚았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白眉) (0) | 2018.08.26 |
---|---|
절차탁마(切磋琢磨) (0) | 2018.08.26 |
낭중지추(囊中之錐) (0) | 2018.08.26 |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0) | 2018.08.26 |
유재시거(唯材是擧) (0) | 2018.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