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노트/CEO의 경영노트

한 때의 분노를 잘 참으면 된다.

어산(於山) 2018. 8. 30. 15:00

중국의 제(齊)나라 환공(桓公)은 포로로 잡힌 관중(官中)이 한 때 활을 쏘아 자신을 죽이려고 했었다는 사실을 알고 그를 사형에 처하려고 했다. 그러나 관중의 친구이자 신하인 포숙아(鮑叔牙)의 간청을 받아들여 관중을 살려주고 재상으로 기용했다. 관중은 이후 제나라의 국정을 개혁하고 부국강병을 실현했다. 환공이 한 때의 분노를 잘 참은 덕분이었다.


또 전국시대 초(楚)나라 장왕(莊王)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연회를 하는데 갑자기 등불이 꺼져 사방이 깜깜해졌다. 그 사이 어떤 사람이 장왕의 시중을 들던 궁녀의 옷을 잡아당겨 희롱하려 하자 그 궁녀는 갓끈을 잡아서 끊어 버린 다음 장왕에게 말했다. “불이 꺼진 틈에 누군가 제 옷을 잡아당기기에 제가 그의 갓끈을 끊었으니 불을 켜고 그 사람을 찾아보세요.” 이에 장왕이 말했다. “술을 마시고 취해서 실수를 했는데 어찌 선비를 욕보일 수 있겠는가. 오늘 나와 함께 술을 마시면서 갓끈을 끊지 않은 사람은 이 자리가 즐겁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겠다.” 그러자 백여 명의 신하가 모두 갓끈을 끊었고 연회는 끝까지 즐거운 분위기가 이어졌다.


3년 후, 이웃의 진(晉)나라와 전쟁이 났는데 한 장수가 선봉에 나서 용맹하게 싸운 덕에 초나라가 승리했다. 그 장수가 장왕 앞에 무릎을 꿇고 말했다. “저는 죽을 목숨이었습니다. 제가 연회 중에 술에 취해 실수를 했는데 왕께서 참고 목숨을 살려 주셨습니다. 제가 그날 밤 연회에서 궁녀의 옷을 잡아당겼다가 갓끈이 끊겼던 자입니다.” 초나라 장왕은 일시적인 분노를 참은 덕에 자신의 생명과 나라를 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었다.


“친구는 가까이에, 적은 더 가까이에 두어야 한다.” 영화 ‘대부’에서 주인공 돈 콜레오네(Don Corleone)가 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