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장
孔德之容, 惟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 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其中有物.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然哉, 以此.
공덕지용, 유도시종. 도지위물, 유황유홀. 홀혜황혜, 기중유상. 황혜홀혜, 기중유물. 요혜명혜, 기중유정. 기정심진, 기중유신. 자고급금, 기명불거, 이열중보. 오하이지중보지연재, 이차.
큰 덕은 그저 도가 드러난 모습이다. 그런데 도라는 것은 잘 보이지 않고 어렴풋하다. 잘 보이지 않고 어렴풋하지만 그 가운데 형상이 있다. 잘 보이지 않고 어렴풋하지만 그 가운데 실체가 있다. 아득하고 어둡지만 그 가운데 본질이 있다. 그 본질은 참되며, 그 가운데 믿음이 존재한다.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이 사라지지 않으니 이를 보고 만물의 시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만믈의 시작이라는 것을 내가 어찌 알겠는가? 바로 도에 의해서이다.
제22장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幣則新,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 抱一爲天下式,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 夫惟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소즉득, 다즉혹, 시이성인, 포일위천하식, 불자견고명, 불자시고창, 불자벌고유공, 불자긍고장, 부유부쟁, 고천하막능여지쟁. 고지소위곡즉전자, 기허언재. 성전이귀지.
굽히면 온전해지고 구부리면 곧아진다. 파여 있으면 채워지고 낡으면 새로워진다. 적으면 얻을 수 있고 많으면 마음이 흔들린다. 성인은 마음 속에 이 말을 간직하고 세상의 모범이 된다. 스스로 내보이지 않지만 오히려 밝게 드러나고, 스스로 옳다고 주장하지 않지만 오히려 널리 알려지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지만 공을 알아주고, 스스로 뽐내지 않지만 오래 간다. 다른 사람들과 다투려 하지 않으니 아무도 그와 싸울 수 없다. 굽히면 온전해진다는 옛말이 어찌 헛되겠는가! 진실로 온전해져서 돌아가는 것이다.
제23장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 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久, 而況於人乎. 故從事於道者,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信不足焉, 有不信焉.
희언자연, 고표풍불종조, 취우불종일. 숙위차자, 천지. 천지상불능구, 이황어인호. 고종사어도자,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동어도자,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동어실자, 실역락득지. 신부족언, 유불신언.
자연은 말이 없이 스스로 그러할 뿐이다. 세찬 바람이라도 아침이면 그치고, 소나기도 종일 내리지는 않는다. 누가 이렇게 하는가? 자연이다. 자연도 이와 같이 변하기 마련이거늘, 하물며 사람은 어떻겠는가? 따라서 도를 좇아 일을 하는 사람은 도를 따르면 도와 같게 되고, 덕을 따르면 덕과 같게 되고, 도와 덕을 잃고자 하면 도와 덕을 잃은 것과 같게 된다. 도와 같게 된 사람은 즐겁게 도를 얻고, 덕과 같게 된 사람은 즐겁게 덕을 얻고, 도와 덕을 잃은 것과 같게 된 사람은 쉽게 도와 덕을 잃게 된다.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하게 된다.
제24장
企者不立, 跨者不行. 自見者不明, 自是者不彰. 自伐者無功, 自矜者不長. 其在道也, 曰餘食贅行.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기자불립, 과자불행. 자견자불명, 자시자불창. 자벌자무공, 자긍자부장. 기재도야, 왈여식췌행. 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발끝으로는 오래 서 있지 못하고, 가랭이를 너무 벌리면 오래 걷지 못한다. 스스로 내보이면 밝게 드러나지 않고, 스스로 옳다고 주장하면 널리 알려지고 않고, 스스로 자랑하면 공을 알아주지 않고, 스스로 뽐내면 오래 가지 않는다. 그런 것들은 도에 있어서 모두 먹다 남은 밥이나 쓸모없는 행동과 같다. 만물은 이런 것들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도를 아는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고전의 향기 > 노자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道德經) 제29-31장 (0) | 2019.02.17 |
---|---|
도덕경(道德經) 제25-28장 (0) | 2019.02.17 |
도덕경(道德經) 제17-20장 (0) | 2019.02.13 |
도덕경(道德經) 제14-16장 (0) | 2019.02.13 |
도덕경(道德經) 제11-13장 (0) | 201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