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인 데이비드 콜리스(David Collis)가 발표한 ‘린 전략’(Lean Strategy)에 따르면 스타트업을 영위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전략의 유연성이라고 한다. 여기서 유연성이란 기업가정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환경에 알맞은 유연한 전략적 사고를 의미한다. 이 전략은 초경쟁 시대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시대에 ‘A/B Test’와 같이 시장실험을 통한 철저한 제품계획의 수립이 항상 유용하다고 할 수만은 없다. 그 이유는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에는 이미 시장환경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는 장기적인 전략적 접근이 유리할 때가 있지만, 작은 규모의 벤처기업은 규모의 이점을 살려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대기업처럼 행동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물론 업종과 규모에 따라 전략이 다를 수 있다.
그런데 경쟁사의 미래 전략을 포함하여 기업환경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쉽지 않다면 어쩔 수 없이 시행착오를 통해 찾아가게 된다. 시행착오를 통한 전략 수립 시 중요한 것은 바로 방향성이다. 방향성이란 유연성 속에서도 잃지 말아야 할 조직의 일관성으로, 작게는 제품 단위, 크게는 전사적 비전이나 정체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Ben & Jerry의 “점진적인 사회변화를 추구하고 직원과 주주에게 똑같이 공정한 보상을 줄 수 있도록 세계 최고의 아이스크림을 만든다”와 같이 변화를 받아들이면서도 조직원들이 공유하고 지켜야 할 방향성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결국 린 전략의 성공 여부는 변화하는 환경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하는지와 채택한 방향성이 얼마나 매력적인지에 달려 있다.*
'경영노트 > CEO의 경영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오션 전략 (0) | 2018.08.30 |
---|---|
전략은 기획실이 아니라 실무자에게서 나온다. (0) | 2018.08.30 |
바둑을 두는 사람보다 곁에서 훈수두는 사람이 수를 더 잘 본다. (0) | 2018.08.30 |
상품 포트폴리오 전략 (0) | 2018.08.30 |
업종을 선택하는 기준을 무엇일까? (0) | 2018.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