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사람들이 모두 아름답다고 하면 아름다운 것으로 안다. 추한 것도 그렇다. 사람들이 모두 선하다고 하면 선한 것으로 안다. 악한 것도 그렇다.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형,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그러므로 유와 무, 어렵고 쉬운 것, 길고 짧은 것, 높고 낮은 것이 모두 상대적인 개념이다. 음과 소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고, 앞과 뒤는 순서에 불과하다.
是以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시이성인, 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따라서 성인은 무위의 태도로써 일을 처리하며, 무언의 가르침을 행한다.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부시, 공성이불거.
성인은 만물의 활동에 대해 자신의 역할을 말하지 않고, 생겨도 소유하지 않으며, 행하되 자부하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머물지 않는다.
夫唯不居, 是以不去.
부유불거, 시이불거.
머물지 않으므로 떠나지도 않는다.
'고전의 향기 > 노자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道德經) 제11-13장 (0) | 2019.02.12 |
---|---|
도덕경(道德經) 제8-10장 (0) | 2019.02.12 |
도덕경(道德經) 제5-7장 (0) | 2019.02.08 |
도덕경(道德經) 제3-4장 (0) | 2019.01.24 |
도덕경(道德經) 제1장 (0) | 2019.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