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완물상지(玩物喪志)
어산(於山)
2018. 8. 26. 16:00
완물상지(玩物喪志)
희롱할 완 물건 물 잃을 상 뜻 지
쓸데없는 물건에 정신이 팔려 본래의 의지를 잃게 된다.
사람을 놀리면 덕을 잃고, 물건을 노리개로 삼으면 큰 뜻을 잃는다는 ‘
완인상덕 완물상지’(玩人喪德 玩物喪志)에서 유래한 말이다.
[출전] 서경(書經) 여오편(旅獒篇)
☆ ★ ☆
고대 중국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패권을 잡자 주변 여러 나라들이 공물을 바쳤는데,
서쪽의 여(旅)에서는 오(獒)라는 큰 개를 보냈다.
무왕은 이 개를 항상 곁에 두고 귀여워했다.
이에 동생이 걱정하며 제후들에게 공물을 나누어 주고 정치에 전념하도록 간했다.
德盛不狎侮, 狎侮君子, 罔以盡人心, 狎侮小人, 罔以盡其力.
不役耳目, 百度惟貞, 玩人喪德, 玩物喪志. 志以道寧, 言以道接.…
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仞, 功虧一簣.
덕성불압모, 압모군자, 망이진인심, 압모소인, 망이진기력.
불역이목, 백도유정, 완인상덕, 완물상지. 지이도녕, 언이도접.…
불긍세행, 종루대덕, 위산구인, 공휴일궤.
덕이 있는 사람은 누구도 경멸하지 않습니다.
군자는 마음을 다하지 않으며, 소인은 힘을 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귀와 눈에 현혹되지 말고 모든 일을 바르게 하십시오.
사람을 놀리면 덕을 잃고, 물건을 노리개로 삼으면 뜻을 잃습니다.
뜻은 도를 지켜야 편안해지고, 말은 도를 지켜야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사소한 행동이라도 신중하지 않으면 결국은 큰 덕에 누를 끼치게 됩니다.
아홉 길 높은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헛수고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