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시계(始計)
1. 시계(始計)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손자왈,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손자의 말이다. 전쟁은 한 나라의 큰 일이며, 생사의 갈림길이고, 존망을 좌우하는 길이니 깊이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故經之以五事, 校之以計, 而索基情. 一曰道, 二曰天, 三曰地, 四曰將, 五曰法.
고경지이오사, 교지이계, 이색기정. 일왈도, 이왈천, 삼왈지, 사왈장, 오왈법.
그러므로 전쟁을 실행에 옮길 때에는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잘 따져보고 계산해서 그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첫째는 전쟁의 명분과 도리, 둘째는 유리한 시기, 셋째는 지리적 환경, 장수의 능력, 다섯째는 군대의 조직과 규율이다.
凡此五者, 將莫不聞, 知之者勝, 不知者不勝. 故校之以計, 而索基情.
범차오자, 장막불문, 지지자승, 부지자불승. 고교지이계, 이색기정.
무릇 이와 같은 5가지에 대해 들어보지 못한 장수는 없겠지만, 아는 사람은 전쟁에서 승리하고 모르는 사람은 승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잘 따져보고 계산해서 그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曰, 主孰有道, 將孰有能, 天地孰得, 法令孰行, 兵衆孰强, 士卒孰鍊, 賞罰孰明, 吾以此知勝負矣.
왈, 주숙유도, 장숙유능, 천지숙득, 법령숙행, 병중숙강, 사졸숙련, 상벌숙명, 오이차지승부의.
또 말하기를, 임금은 누가 더 명분과 도리를 지키고 있는가, 어떤 장수가 더 능력이 있는가, 천문과 지형적 환경은 누가 더 많이 아는가, 군율과 명령은 누가 더 잘 지키고 있는가, 병력은 누가 더 강한가? 병졸은 누가 더 잘 훈련되어 있는가, 상벌은 누가 더 확실하게 집행하고 있는가, 나는 이것으로 전쟁의 승패를 알 수 있다.
夫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 未戰而廟算不勝者, 得算少也. 多算勝, 少算不勝, 而況於無算乎! 吾以此觀之, 勝負見矣.
부미전이묘산승자, 득산다야, 미전이묘산불승자, 득산소야. 다산승, 소산불승, 이황어무산호! 오이차관지, 승부견의.
무릇 전쟁을 시작하기에 앞서 다같이 종묘에 모여 계산해 보고 얻을 것이 많다면 승리할 것이고, 얻을 것이 적다면 승리하지 못할 것이다. 이처럼 승산이 높으면 이기고, 승산이 낮으면 이기지 못하는 법인데, 하물며 계산조차 하지 않는다면 어찌 되겠는가! 나는 이것으로 전쟁의 승패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