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傳) 제6장 성의<誠意>
전(傳) 제6장 성의<誠意>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惡臭, 如好好色, 此之謂自謙. 故, 君子必愼其獨也. 小人閒居爲不善, 無所不至, 見君子而后, 厭然揜其不善, 而著其善, 人之視己, 如見其肺肝然, 則何益矣. 此謂誠於中, 形於外. 故, 君子必愼其獨也.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 富潤屋, 德潤身, 心廣體胖. 故, 君子必誠其意.
소위성기의자, 무자기야. 여악악취, 여호호색, 차지위자겸. 고, 군자필신기독야. 소인한거위불선, 무소불지, 견군자이후, 염연엄기불선, 이저기선, 인지시기, 여견기폐간연, 즉하익의. 차위성어중, 형어외. 고, 군자필신기독야. 증자왈, "십목소시, 십수소지, 기엄호." 부윤옥, 덕윤신, 심광체반. 고, 군자필성기의.
이른바 생각을 진실하게 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이다. 악취를 싫어하듯 악을 싫어하고 예쁜 여자를 좋아하듯 선을 좋아하는 마음의 상태, 이를 두고 꺼림칙한 것 하나 없이 만족한 상태라고 하며, 군자는 혼자만 아는 마음속의 생각이 어떤지 반드시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소인배가 혼자 있을 때에는 못할 것이 없이 못된 짓을 하다가도 군자가 보면 은근슬쩍 자기의 행동을 숨기고 선을 드러낸다. 하지만 폐부를 들여다보듯 사람들이 모두 자기를 꿰뚫어 보고 있는데, 숨겨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이를 두고 안에 있으면 밖으로 드러나는 법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혼자만 아는 마음속의 생각을 반드시 신중하게 살피는 것이다. 증자의 말이다. "열 사람의 눈이 언제나 나를 주시하고 열 사람의 손가락이 나를 가리키고 있으니, 참으로 두렵다." 부유함은 집을 윤택하게 만들고 덕은 몸을 빛나게 한다. 덕이 있으면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반듯이 펴지기에, 군자는 반드시 그 생각을 진실하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