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입교편(立敎篇)
입교편(立敎篇)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 戰陣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 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
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전진유열이용위본, 치정유리이농위본, 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위본."
공자의 말이다. "입신에는 의가 있으니 효가 근본이고, 상과 제사에는 예가 있으니 슬픔이 근본이고, 싸움터에는 질서가 있으니 용맹이 근본이고, 나라를 통치함에는 이치가 있으니 농사가 근본이고, 나라를 지킴에는 도가 있으니 대를 잇는 것이 근본이고, 재물을 생산함에는 때가 있으니 힘을 쓰는 것이 근본이다."
景行錄云, "爲政之要, 曰公與淸。成家之道, 曰儉與勤."
경행록운, "위정지요, 왈공여청. 성가지도, 왈검여근."
경행록에 이른다. "정치의 요체는 공평과 청렴이고, 집안을 이루는 길은 근검과 근면이다."
讀書起家之本, 循理保家之本, 勤儉治家之本, 和順齊家之本.
독서기가지본, 순리보가지본, 근검치가지본, 화순제가지본.
독서는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며, 이치를 따름은 집안을 보존하는 근본이며, 근검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이며, 화목하고 순종하는 것은 집을 가지런히 하는 근본이다.
孔子三計圖云, "一生之計在於幼, 一年之計在於春, 一日之計在於寅。幼而不學, 老無所知, 春若不耕, 秋無所望, 寅若不起, 日無所辦."
공자삼계도운, "일생지계재어유, 일년지계재어춘, 일일지계재어인. 유이불학, 노무소지. 춘약불경, 추무소망, 인약불기, 일무소판."
공자의 삼계도에 이른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세우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세우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세운다. 따라서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바가 없고,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기대할 바가 없고,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 날 하루에 할일을 판단할 바가 없다."
* 삼계도(三計圖): 세 가지의 계획을 말한다.
性理書云, "五敎之目,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성리서운, "오교지목,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성리서에 이른다. "다섯 가지 가르침이 있는데, 부자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가 있어야 하며, 부부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하며,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三綱,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
삼강,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
삼강은 임금은 신하의 모범이 되고, 아버지는 자식의 모범이 되며, 남편은 아내의 모범이 되는 것이다.
王蠋曰, "忠臣不事二君, 烈女不更二夫."
왕촉왈, "충신불사이군, 열녀불경이부."
왕촉의 말이다.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
* 왕촉(王蠋): 중국 (齊) 나라의 문신. 연(燕) 나라의 공격으로 패망하게 되었을 때 연의 장군 악의(樂毅)가 투항을 권유하자 이와 같이 말하고 자결했다.
忠子曰, "治官莫若平, 臨財莫若廉."
충자왈, "치관막약평, 임재막약렴."
충자의 말이다. "나랏일을 함에는 공평함 만한 것이 없고, 재물에 임해서는 청렴함 만한 것이 없다."
張思叔座右銘曰, "凡語必忠信, 凡行必篤敬, 飮食必愼節, 字劃必楷正, 容貌必端莊, 衣冠必肅整, 步履必安詳, 居處必正靜, 作事必謀始, 出言必顧行, 常德必固持, 然諾必重應, 見善如己出, 見惡如己病, 凡此十四者, 皆我未深省, 書此當座隅, 朝夕視爲警."
장사숙좌우명왈, 범"어필충신, 범행필독경, 음식필신절, 자획필해정, 용모필잔장, 의관필숙정, 보리필안상, 거처필정정, 작사필모시, 출언필고행, 상덕필모지, 연락필중응, 견선여기출, 견악여기병, 범차십사자, 개아미심성, 서차당좌우, 조석시위경."
장사숙의 좌우명에 이른다. "모든 말은 반드시 정성스럽고 믿음이 있으며, 모든 행동은 반드시 돈독하고 공손하며, 음식은 반드시 삼가고 절제하며, 글씨는 반드시 똑바르게 쓰며, 용모는 반드시 단정하며, 의관은 반드시 엄숙하고 바르게 하며, 걸음 걸이는 반드시 안정되고 차분하며, 거처는 반드시 바르고 고요하며, 일을 할 때에는 반드시 시작을 잘 계획하며, 말을 할 때는 반드시 실행가능성을 고려하며, 덕은 반드시 굳게 지키며, 승낙은 반드시 신중하게 생각해서 응하며, 선한 일을 보면 내게서 나오듯이 하며, 악한 일을 보면 내 병인 듯 해야 한다. 무릇 이 14가지 것을 나는 아직 깊이 깨닫지 못했으므로, 이를 글로 써서 구석자리에 붙여 놓고 아침 저녁으로 보면서 경계할 것이다."
* 장사숙(張思叔): 북송(北宋) 사람으로 정자(程子)의 제자이다.
范益謙座右戒曰, "一不言朝廷利害邊報差除, 二不言州縣官員長短得失, 三不言衆人所作過惡之事, 四不言仕進官職趨時附勢, 五不言財利多少厭貧求富, 六不言淫媟戱慢評論女色, 七不言求覓人物干索酒食."
범익겸좌우계왈, "일불언조정이해변보차제, 이불언주현관원장단득실, 삼불언중인소작과악지사, 사불언사진관직추시부세, 오불언재리다소염빈구부, 육불언음설희만평론여색, 칠불언구멱인물간색주식."
범익겸의 좌우계에 이른다. "첫째, 조정의 이해, 변방에서 올라오는 보고와 관직의 임에 대해 말하지 말라. 둘째, 지방 관원들의 장단점이나 득실에 대해 말하지 말라. 셋째, 여러 사람들이 짓는 허물과 악행에 대해 말하지 말라. 넷째, 관직에 나아가는 것과 권세를 쫓아 다니는 것에 대해 말하지 말라. 다섯째, 재물의 이익이 많고 적음과 가난을 싫어하고 부를 구하는 일에 대해 말하지 말라. 여섯째, 음란하며 외설적인 농담이나 여색을 평하는 말을 하지 말라. 일곱째, 남의 물건을 탐내거나 술과 음식을 구하는 말을 하지 말라."
* 범익겸(范益謙): 남송(南宋)때의 학자이다.
又曰, "一人付書信不可開坼沈滯, 二與人幷座不可窺人私書, 三凡入人家不可看人文字, 四凡借人物不可損壞不還, 五凡喫飮食不可揀擇去取, 六與人同處不可自擇便利, 七凡人富貴不可歎羨詆毁, 凡此數事有犯之者, 足以見用心之不肖, 於存心修身, 大有所害, 因書以自警."
우왈, "일인부서신불가개탁침체, 이여인병좌불가규인사서, 삼범입인가불가간인문자, 사범차인물불가손회불환, 오범끽음식불가간택거취, 육여인동처불가자택편리, 칠범인부귀불가탄선저훼, 범차수사유범지자, 족이견용심지불초, 어존심수신, 대유소해, 인서이자경."
또한 "첫째, 남이 부친 서신을 함부로 뜯거나 지체하지 말고, 둘째, 다른 사람과 같이 있으면서 그가 보는 개인적인 편지를 엿보지 말고, 셋째, 다른 사람의 집에 들어가게 되면 그가 사사로이 적어 놓은 글을 보지말고, 넷째, 남에게 빌린 물건은 훼손하거나 되돌려 주지 않으면 안되고, 다섯째, 무릇 음식을 먹고 마실 때는 가리거나 버리지 말고, 여섯째, 남과 같이 있을 때에는 나만의 편리함을 따지지 말고, 일곱째, 무릇 남의 부귀를 부러워하거나 헐뜯지 말라. 무릇 이와 같은 일들을 지키지 못하면 마음 씀씀이가 바르지 않아 심신을 수양하는데 크게 해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글로 써서 스스로 경계하고자 한다."
武王問太公曰, "人居世上, 何得貴賤貧富不等, 願聞說之, 欲知是矣." 太公曰, "富貴如聖人之德, 皆由天命, 富者用之有節, 不富者家有十盜."
무왕문태공왈, "인거세상, 하득귀천빈부불등, 원문설지. 욕지시의." 태공왈, "부귀여성인지적, 개유천명, 부자용지유절, 불부자가유십도."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어찌하여 귀천과 빈부가 같지 않는가요? 이유를 말해 주세요." 태공의 말이다. "부귀는 성인의 덕과 같아서 하늘에 달렸는데, 부유한 사람은 씀씀이에 절제가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집안에 열가지 도둑이 있습니다."
* 무왕(武王): 고대 중국의 주(周)나라 초대 임금으로 은(殷)의 폭군 주(紂)를 멸하고 중국을 통일했다.
武王曰, "何爲十盜?" 太公曰, "時熟不收爲一盜, 收積不了爲二盜, 無事燃燈寢睡爲三盜, 慵懶不耕爲四盜, 不施工力爲五盜, 專行巧害爲六盜, 養女太多爲七盜, 晝眠懶起爲八盜, 貪酒嗜慾爲九盜, 强行嫉妬爲十盜."
무왕왈, "하위십도?" 태공왈, "시숙불수위일도, 수적불료위이도, 무사연등침수위삼도, 용라불경위사도, 불시공력위오도, 전행교해위육도, 양녀태다위칠도, 부면나기위팔도, 식주시욕위구도, 강행질투위십도."
무왕이 다시 물었다. "열가지 도둑은 무엇인가요?" 태공이 대답했다. "때가 되어도 곡식을 거두지 않으니 첫번째 도둑이며, 곡식을 거두어 쌓아두지 않으니 두 번째 도둑이며, 아무일도 없이 등불을 켜놓고 잠이 드니 세번째 도둑이며, 게을러서 밭을 갈지 않으니 네번째 도둑이며, 능력을 발휘하지 않으니 다섯번째 도둑이며, 꾀를 부려 남을 해치는 일을 하니 여섯째 도둑이며, 딸만 너무 많이 기르니 일곱째 도둑이며, 낮이 되도록 자고 게을리 일어나니 여덟째 도둑이며, 술 마시기를 탐하며 즐기니 아홉째 도둑이며, 억지로 행하고 남을 시기하니 열번째 도둑입니다."
武王曰, "家無十盜, 不富者, 何如?" 太公曰, "人家必有三耗." 武王曰, "何名三耗." 太公曰, "倉庫漏濫不蓋, 鼠雀亂食爲一耗, 收種失時爲二耗, 抛撒米穀穢賤爲三耗."
무왕왈, "가무십도, 불부자, 여하." 태공왈, "인가필유삼모." 무왕왈, "하명삼모." 태공왈, "창고누람불개, 서작난식위일모, 수종실시위이모, 포살미곡예천위삼모."
무왕이 또 물었다. "집안에 열가지 도둑이 없는데도 부유하지 못한 것은 왜 그런가요?" 태공의 대답이다. "집안에 반드시 세가지 소모함이 있습니다." 무왕이 말했다. "세 가지 소모함은 무엇인가요?" 태공의 대답이다. "창고가 새고 넘치는데도 조치를 하지 않아 쥐와 참새들이 어지럽게 먹어대는 것이 첫번째 소모함이고, 거두고 씨뿌리는데 때를 놓치는 것이 두번째 소모함이고, 곡식을 버리고 흩뿌려 더럽고 천하게 다루는 것이 세번째 소모함입니다."
武王曰, "家無三耗, 不富者, 何如?" 太公曰, "人家必有一錯二誤三痴四失五逆六不祥七奴八賤九愚十强, 自招其禍, 非天降殃."
부왕왈, "가무삼모, 불부자, 하여?" 태공왈, "인가필유일착이오삼치사실오역뮥불상칠노팔천구우십강, 자초기화, 비천강앙."
무왕이 말했다. "집안에 세가지 소모함이 없는데도 부유하지 못한 사람은 왜 그런가요?" 태공의 대답이다. "집안에 반드시 일착, 이오, 삼치, 사실, 오역, 육불상, 칠노, 팔천, 구우, 십강이 있어서, 그 화를 스스로 부르는 것이지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이 아닙니다."
武王曰, "願悉聞之." 太公曰, "養男不敎訓爲一錯, 嬰孩勿訓爲二誤, 初迎新婦不行嚴訓爲三痴, 未語先笑爲四失, 不養父母爲五逆, 夜起赤身爲六不祥, 好挽他弓爲七奴, 愛騎他馬爲八賤, 喫他酒勸他人爲九愚, 喫他飯命朋友爲十强." 武王曰, "甚美誠哉, 是言也."
무왕왈, "원실문지." 태공왈, "양남불교훈위일착, 영해물훈위이오, 초영신부불행엄훈위삼치, 미어선소위사실, 불양부모위오역, 야기적신위육불상, 호만타궁위칠노, 애기타마위팔천, 끽타주권타인위구우, 끽타반명붕우위십강." 무왕왈, "심미성재, 시언야."
무왕이 말했다. "다 말해주세요." 태공의 말이다. "사내아이를 기르며 가르치지 않으니 첫번째 착오이며, 어린 아이를 훈계하지 않으니 두번째 오류이며, 신부를 처음 맞아들여 엄한 훈계를 하지 않으니 세번째 어리석음이며, 아직 말도 하지 않았는데 먼저 웃어버리니 네번째 실수이며, 부모를 봉양하지 않으니 다섯번째 거스름이며, 밤에 발가벗은 몸으로 일어나니 여섯번째 상서롭지 못한 일이요, 남의 활을 당기기를 좋아하니 일곱째 노비같은 짓이며, 남의 말을 타기를 좋아하니 여덟번째 천한 짓이며, 남의 술을 마시면서 다른 사람에게 권하는 것이 아홉번째 어리석음이며, 남의 밥을 먹으면서 친구에게도 먹도록 시키니 열번째 강요입니다. 무왕이 말했다. 그 말씀이 딱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