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제자
공자의 제자는 그 수가 많다.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72명을 칠십이현(七十二賢)이라고도 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을 꼽기도 한다. 4개의 분야별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덕행(德行): 안회(顔回), 민손(閔損), 염경(冉耕), 염옹(冉雍)
정사(政事): 자로(子路), 염유(冉有)
언어(言語): 재여(宰予), 자공(子貢)
문학(文學):
<논어> 선진편에 따르면, 공자의 제자는 '선진(先進)'과 '후진(後進)'의 두 팀으로 나눈다. 선진은 공자와 나이 차이가 20여세 정도인 사람들로, 자로, 자공, 자유 등이다. 후진은 공자와 40세 정도 차이가 나는 사람들로 안회 증자 자하 자유, 자장 등이다. 이들 선배 그룹과 후배 그룹을 '弟子'라고 하는데, '아우뻘(弟)인 사람, 아들 뻘(子)인 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들뻘인 후배 그룹들이 공자의 사상을 후세에 전했다. 증자를 이은 맹자, 자하 자유 등을 이은 순자가 그들이다.
공자의 제자들은 스승인 공자가 사망한 후에 여러 파로 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크게 2분하면 증자(曾子) · 자사(子思, 공자의 손자)의 계통에 속하는 내성파(內省派; 안으로 반성을 함. 마음 수양을 중시함. 仁 중심)와 자하 · 자유의 계통에 이어지는 숭례파(崇禮派; 예를 높임. 예를 닦음. 禮 중심)의 2파로 나뉘었다. 이 두 파를 공문의 2유파(孔門의 二流派)라 한다. 이들 선진시대(先秦時代) 유가의 두 줄기의 흐름은 후대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다.
<논어>에 등장하는 제자들은 어떤 때는 본명으로, 어떤 때는 이름만으로, 어떤 때는 자로, 어떤 때는 성과 자를 결합해서 부르기도 해서 혼동되기 쉽다. 그래서 주요 제자들에 대해 알기 쉽게 표로 정리해 본다.
본명 | 자 | 흔히 불리운 이름 | 특징 |
안회(顔回) | 자연(子淵) | 안연(顔淵) | 공자가 가장 사랑했지만, 공자보다 먼저 요절했다. |
민손(閔損) | 자건(子騫) | 민자건(閔子騫) | 유명한 효자였다. |
염경(冉耕) | 백우(伯牛) |
| 덕행이 뛰어났다. |
염옹(冉雍) | 중궁(仲弓) | 언변은 없었지만 덕망이 있었다. | |
중유(仲由) | 자로(子路), 계로(季路) | 성격이 거칠고 용맹했다. 14년간의 주유생활을 공자와 같이 했다. | |
염유(冉求) | 자유(子有) | 염유(冉有) | 정치적 능력이 탁월했다. |
재여(宰予) | 자아(子我) | 재아(宰我) | 언변이 뛰어났다. |
단목사(端木賜) | 자공(子貢) | 외교와 상업에 뛰어나 공자의 재정을 지원했다. | |
언언(言偃) | 자유(子遊) | 문학과 예악에 능력이 있었다. | |
복상(卜商) | 자하(子夏) | 문학에 재능이 있었다. | |
증삼(曾參) | 자여(子輿) | 증자(曾子) | 공자의 제자 중 가장 존경받았다. |
전손사(顓孫師) | 자장(子張) | 매사에 의욕적이고 의협심이 강했다. | |
유약(有若) |
| 유자(有子) | 존경을 많이 받았다. |
원헌(原憲) | 자사(子思) | 원사(原思) | 벼슬을 원하지 않던 청렴한 성격이었다. |
공야장(公冶長) | 자장(子長) |
| 공자가 사위로 삼았다. |
남궁괄(南宮括) | 자용(子容) |
| 공자가 조카사위로 삼았다. |
공서적(公西赤) | 자화(子華) | 공서화(公西華) | 집이 부유했다. |
번수(樊須) | 자지(子遲) | 번지(樊遲) | 매사를 빨리 이루려고 하다가 핀잔을 듣곤 했다. |
[참고] 위키백과